님들의 산행 급수는 ... ?
페이지 정보
본문
산행급수 판별법(1)/유급자편!
8급 : 타의입산
휴일이면 TV리모컨을 쥐고 산다. 회사에서 결정된 산행에 어쩔수 없이 따
라나선다.*특징:멀쩡한 하늘에서 갑자기 억수같은 비가 쏟아지기를..그래
서 산행이 취소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놀부심보.
7급 : 증명입산
산이 좋아서라기보단 사진 찍으러 간다. 애써 걷기보다 물좋고 경치좋으
면 장소안가리고 스태플러 찍듯 찰칵찰칵 사진 찍느라 정신이 없다.*특징:
경관 좋은곳을 배경으로 증명사진 찍는 버릇. 그 사진을 산에 갔다왔다는
증거로 활용.
6급 : 섭생입산
오로지 먹으러 산엘 간다. 배낭 가득 먹을거리를 챙기고 계곡을 찾아 퍼질
러 앉아 음식을 탐한다.*특징:엄청 먹었는데도 음식의 절반이상이 남아 다
시 지고 내려오며 “아 나는 왜 요즘 이리 입맛이 없을까” 자신의 몸걱정
을 한다.
5급 : 중도입산
산행을 하긴 하되 꼭 중도에서 하산한다. 그리고 제 다리 튼튼하지 못함
을 탓하지 않고 꼭 뫼만 높다 탓한다.*특징:“뭐 꼭 정상을 올라야 하나.
올라가면 누가 밀가루 배급이라도 준단 말이냐” 자기합리화를 빠뜨리지
않는다.
4급 : 화초입산
줄곧 집에만 있다가 진달래, 철쭉꽃 피는 춘삼월이나,만산홍엽 불타는 가
을이 되면 갑자기 산에 미친다.*특징:예쁜 꽃이나 단풍을 꼭 끼고 사진을
찍는다.
3급 : 음주입산
산을 좀 아는 인간이다. 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마셔야 산행이 완결됐
다고 주장하며, 산을 열심히 찾는 이유가 성취감 뒤에 따르는 맛난 하산
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특징:술의 종류, 알콜도수, 값을 막론하고 그저
양만 많으면 된다는 두주불사형이 많다.
2급 : 선수입산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고, 산을 몇 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
이 걸었다느니 하는걸 무지하게 자랑한다. 그러나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신통치 않다.*특징:이 인간을 따라 나서면 대개 굶게 된다. 먹을때도 번갯
불에 콩구워 먹듯 해치우고 오로지 걷고 또 걷는다.
1급 : 무시입산
산행의 정신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제사가
있으나 아이가 아프나, 계획한 산행은 꼭 한다. *특징:폭풍이 몰아쳐 “오
늘 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넌 비온다고 밥 안먹냐?”하며 아예 쳐
다보지도 않는다. 단순무식이 돋보인다.
산행급수 판별법(2)/ 유단자 편
초단:야간입산
시간이 없음을 한탄하며 주말은 물론, 퇴근후 밤에라도 산에 오른다. 산
에 가자고 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산병 초기증세. *특징:산꼭대기
에 오르면 지가 무슨 늑대라고 "아~우~" 달을 보며 소리지르는 해괴한 모
습을 가끔 보인다.
2단:면벽입산
바위타기를 즐겨, 틈도 없는 바위에 온몸을 비벼 넣으며, 바위가 애인인
듯, 안고 할퀴고 버팅기고...바위를 상대로 온갖 퍼포먼스를 한다. *특징:
이쯤되면 대학졸업때까지 책 10권도 못봤단 말이 실감난다.
3단:면빙입산
날씨가 추워지기를 학수고대한다. 얼음도끼와 쇠발톱을 꺼내놓고 폭포가
얼어붙기를 축원하다가, 결빙소식만 들으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 얼음에
몸을 던진다. *특징:빙판길에 가족이 넘어져 다쳐도 겨울은 추워야 한다
고 박박 우긴다.
4단:합계입산
더 높고 어려운 산은 없나 눈에 불을 켠다. 산에 관한 정보를 찾으려 외국
원서를 번역하며 평소 안하던 공부를 하기도 한다. *특징:산병 중증환자로
서 '운수납자'(雲水衲子:탁발승을 멋스럽게 부르는 말) 흉내를 내어 고행
길로 들어서기도 한다.
5단:설산입산
드디어 설산인 히말라야로 떠나게 된다. 생즉필사(生卽必死), 사즉필생(死
卽必生)이라...알 듯 모를 듯 비장한 출사표를 내고 설산에 도전한다. *특
징:설산으로 간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돌아왔다는 소식이 없는 경우가 종
종 있다.
6단:자아입산
드디어 산심을 깨닫고, 진정으로 넘어야 할 산은 마음속에 있음을 알게 된
다. 따라서 무조건 높고 험한 산에 취해 잊고있던 '사람과 산'의 관계를
알게된다. *특징:국가에서 주는 훈장을 가끔 받는경우가 있다. 그동안 집
사람에게 찍혔던 '산에 대한 집념'이 비로소 결실을 거둔다.
7단:회귀입산
산의 본질적 의미는 자신을 발견하는데 있다는, 머리에 쥐나는 진리를 깨
닫고, 다시 우리나라의 낮은 산을 찾게 된다. *특징:"걷는자만이 오를수
있다"는 지극히 쉬운 원리를 어렵게 깨우친 충격을 못이겨, 실실 웃는 하
회탈 모습으로 평소의 표정이 바뀐다.
8단:불문입산
"산 아래 산 없고 산 위에 산 없다"라는 평등 산사상의 경지에 이른다. 입
신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특징:묻지마 관광처럼, 산에 오르는 이유를
묻지말라는 선문답을 하며 유유자적 산을 즐긴다.
9단:소산입산
작은 산도 엄청 크고 높게 보는 겸허한 안목이 생긴다. 작은 산을 즐겨찾
으나, 죽어도 힘들어서 높은 산을 못올라간다는 말은 안한다. *특징:다리
에 힘이 빠지는 것과 비례하여 입에 양기가 오른다. 남산정도의 산행을 끝
내고도, 하산주를 마실때면 과거를 회상하는 시간이 엄청 길어진다. (끝)
--삽질--
8급 : 타의입산
휴일이면 TV리모컨을 쥐고 산다. 회사에서 결정된 산행에 어쩔수 없이 따
라나선다.*특징:멀쩡한 하늘에서 갑자기 억수같은 비가 쏟아지기를..그래
서 산행이 취소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놀부심보.
7급 : 증명입산
산이 좋아서라기보단 사진 찍으러 간다. 애써 걷기보다 물좋고 경치좋으
면 장소안가리고 스태플러 찍듯 찰칵찰칵 사진 찍느라 정신이 없다.*특징:
경관 좋은곳을 배경으로 증명사진 찍는 버릇. 그 사진을 산에 갔다왔다는
증거로 활용.
6급 : 섭생입산
오로지 먹으러 산엘 간다. 배낭 가득 먹을거리를 챙기고 계곡을 찾아 퍼질
러 앉아 음식을 탐한다.*특징:엄청 먹었는데도 음식의 절반이상이 남아 다
시 지고 내려오며 “아 나는 왜 요즘 이리 입맛이 없을까” 자신의 몸걱정
을 한다.
5급 : 중도입산
산행을 하긴 하되 꼭 중도에서 하산한다. 그리고 제 다리 튼튼하지 못함
을 탓하지 않고 꼭 뫼만 높다 탓한다.*특징:“뭐 꼭 정상을 올라야 하나.
올라가면 누가 밀가루 배급이라도 준단 말이냐” 자기합리화를 빠뜨리지
않는다.
4급 : 화초입산
줄곧 집에만 있다가 진달래, 철쭉꽃 피는 춘삼월이나,만산홍엽 불타는 가
을이 되면 갑자기 산에 미친다.*특징:예쁜 꽃이나 단풍을 꼭 끼고 사진을
찍는다.
3급 : 음주입산
산을 좀 아는 인간이다. 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마셔야 산행이 완결됐
다고 주장하며, 산을 열심히 찾는 이유가 성취감 뒤에 따르는 맛난 하산
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특징:술의 종류, 알콜도수, 값을 막론하고 그저
양만 많으면 된다는 두주불사형이 많다.
2급 : 선수입산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고, 산을 몇 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
이 걸었다느니 하는걸 무지하게 자랑한다. 그러나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신통치 않다.*특징:이 인간을 따라 나서면 대개 굶게 된다. 먹을때도 번갯
불에 콩구워 먹듯 해치우고 오로지 걷고 또 걷는다.
1급 : 무시입산
산행의 정신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제사가
있으나 아이가 아프나, 계획한 산행은 꼭 한다. *특징:폭풍이 몰아쳐 “오
늘 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넌 비온다고 밥 안먹냐?”하며 아예 쳐
다보지도 않는다. 단순무식이 돋보인다.
산행급수 판별법(2)/ 유단자 편
초단:야간입산
시간이 없음을 한탄하며 주말은 물론, 퇴근후 밤에라도 산에 오른다. 산
에 가자고 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산병 초기증세. *특징:산꼭대기
에 오르면 지가 무슨 늑대라고 "아~우~" 달을 보며 소리지르는 해괴한 모
습을 가끔 보인다.
2단:면벽입산
바위타기를 즐겨, 틈도 없는 바위에 온몸을 비벼 넣으며, 바위가 애인인
듯, 안고 할퀴고 버팅기고...바위를 상대로 온갖 퍼포먼스를 한다. *특징:
이쯤되면 대학졸업때까지 책 10권도 못봤단 말이 실감난다.
3단:면빙입산
날씨가 추워지기를 학수고대한다. 얼음도끼와 쇠발톱을 꺼내놓고 폭포가
얼어붙기를 축원하다가, 결빙소식만 들으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 얼음에
몸을 던진다. *특징:빙판길에 가족이 넘어져 다쳐도 겨울은 추워야 한다
고 박박 우긴다.
4단:합계입산
더 높고 어려운 산은 없나 눈에 불을 켠다. 산에 관한 정보를 찾으려 외국
원서를 번역하며 평소 안하던 공부를 하기도 한다. *특징:산병 중증환자로
서 '운수납자'(雲水衲子:탁발승을 멋스럽게 부르는 말) 흉내를 내어 고행
길로 들어서기도 한다.
5단:설산입산
드디어 설산인 히말라야로 떠나게 된다. 생즉필사(生卽必死), 사즉필생(死
卽必生)이라...알 듯 모를 듯 비장한 출사표를 내고 설산에 도전한다. *특
징:설산으로 간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돌아왔다는 소식이 없는 경우가 종
종 있다.
6단:자아입산
드디어 산심을 깨닫고, 진정으로 넘어야 할 산은 마음속에 있음을 알게 된
다. 따라서 무조건 높고 험한 산에 취해 잊고있던 '사람과 산'의 관계를
알게된다. *특징:국가에서 주는 훈장을 가끔 받는경우가 있다. 그동안 집
사람에게 찍혔던 '산에 대한 집념'이 비로소 결실을 거둔다.
7단:회귀입산
산의 본질적 의미는 자신을 발견하는데 있다는, 머리에 쥐나는 진리를 깨
닫고, 다시 우리나라의 낮은 산을 찾게 된다. *특징:"걷는자만이 오를수
있다"는 지극히 쉬운 원리를 어렵게 깨우친 충격을 못이겨, 실실 웃는 하
회탈 모습으로 평소의 표정이 바뀐다.
8단:불문입산
"산 아래 산 없고 산 위에 산 없다"라는 평등 산사상의 경지에 이른다. 입
신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특징:묻지마 관광처럼, 산에 오르는 이유를
묻지말라는 선문답을 하며 유유자적 산을 즐긴다.
9단:소산입산
작은 산도 엄청 크고 높게 보는 겸허한 안목이 생긴다. 작은 산을 즐겨찾
으나, 죽어도 힘들어서 높은 산을 못올라간다는 말은 안한다. *특징:다리
에 힘이 빠지는 것과 비례하여 입에 양기가 오른다. 남산정도의 산행을 끝
내고도, 하산주를 마실때면 과거를 회상하는 시간이 엄청 길어진다. (끝)
--삽질--
댓글목록

xxx님의 댓글
xxx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http://www.guccisunglasses.us.com
http://www.pradasunglasses.us.com
http://www.cartier.us.com
http://www.cartieroutlet.us.com
http://www.cazal.us.com
http://www.chanelsunglasses.in.net
http://www.chromehearts-outlet.com
http://www.cartierwatches.us.com
http://www.chromeheartsoutlet.in.net
http://www.burberrysunglasses.us.com
http://www.dior.us.com
http://www.policesunglasses.us.com
http://www.versacesunglasses.us.com
http://www.louisvuittonsunglasses.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