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 공룡 산행기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
http://
257회 연결
본문
산행기록
03:25 오색 매표소 출발
04:30 설악폭포(950M)
05:45 대청봉(1708M)
06:06 중청 대피소
06:55 희운각 대피소-식사
07:34 희운각 출발
08:00 신선대
10:36 백담사,오세암,마등령 삼거리
10:46 마등령(1320)
12:21 비선대
산행시간 :8시간 56분
-산행기
원래 토요일 바래봉에서 비박하기로 계획했는데 함께 할 사람도 없고 해서 하릴없이 신문의 안내산악회를 뒤적거렸다. 무박2일 설악공룡을 가는 산정산악회의 안내 인사말이 눈에 밟혔다. 술을 제공하지 않으며, 산꾼답게 산을 타자는 인사말과 함께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했다. 공룡은 작년에 한번 타 본 경험이 있었는데 물 때문에 고생했고 가파른 설악의 산세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얼마 전 태극도 완성한지라 한 번 더 해보자는 묘한 마음이 생겼다.
토요일 밤 두 대의 차량이 시민회관에서 출발했다. 등반대장의 힘찬 인사말을 듣고 잠시 눈을 붙였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오색이다. 벌써 몇 대의 차량이 왔는지 이차선 도로는 좁았다. 준비를 하고 오르는데 4시30분이 되자 날이 밝아왔다. 후래쉬를 꺼고 등로를 세심하게 살펴본다. 지난번에는 아침에 한계령에서 올랐기에 이 길은 처음이다. 빠른사람은 2시간이면 오른다는 대청봉은 20분이 더 걸렸다.

대청봉에서
오르는 내내 같은 산악회 사람을 하나 못 만난지라 혹시 대열에서 이탈하는건 아닐까 조바심이 났는데 정상에 다가 갈 무렵에 한사람을 만났다. 그분(이승천님)도 같은 산악회 사람을 못 만났는데 날 만났다며 나보고 선두냐고 물었다. 우린 함께 대청봉에 올라 서로 사진을 찍어주고 중청대피소로 내려왔다. 식사장소였던 중청에서 밥 먹기에는 조금 이른
시각이라 희운각에서 먹기로 하고 내처 달렸다.
희운각에 도착해서 밥을 먹고 있으니 이승천님이 왔다. 우린 함께 공룡을 가기로 했다. 희운각에서 공룡가는 길은 따로 표시를 하지 않아 초행인 사람은 그대로 양폭으로 내려갈 수 있는데 같은 국립공원이지만 지리산은, 표지판 하나는 어느 곳 보다 잘 되어 있다는 생각이 문득 났다. 공룡 초입인 신선대 가는길은 가파른 된비알로 이뤄져서 공룡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선대에선 앞으로 갈 공룡길이 보였고 좌로는 용아장성이, 우로는 울산바위가 헌걸차게 펼쳐져있다. 속초 앞바다는 가스가 차서 보이지 않았다.

신선대에서 조망





전에 처음 공룡을 탔을때와 달리 이번엔 바위하나 꽃 하나 이런식으로 조망하며 간다. 역시 알고 가는 길과 모르고 가는 길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내가 몇 시 쯤 마등령에 갈 것이며, 언제쯤 샘을 만난다는 생각은 마음의 여유를 주는 것이다. 그러나 나한봉은 어디 있는지 모르고 지나쳤다. 나한봉 근처에서 산악회 선두를 만났다. 그 사람도 심심 해서 기다렸다고 한다. 함께 마등령을 올랐는데 미시령 가는 길은 출입금지지역이다.






백담사,오세암,마등령 삼거리에 있는 학 머리 모양의 나무.
내려오는 길은 계속 내리막길인데 일요일이라 암벽 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었다. 우측으로는 저 멀리 대청봉이 보였고 우리가 오르내렸던 공룡의, 여기저기 불쑥 튀어 나온 등허리가 한 눈에 조망이 되었다. 이렇게 멀리 오다니.....
뿌듯한 자부심이 탄식처럼 흐르는 것을 스스로도 깜짝 놀란다. -끝.
03:25 오색 매표소 출발
04:30 설악폭포(950M)
05:45 대청봉(1708M)
06:06 중청 대피소
06:55 희운각 대피소-식사
07:34 희운각 출발
08:00 신선대
10:36 백담사,오세암,마등령 삼거리
10:46 마등령(1320)
12:21 비선대
산행시간 :8시간 56분
-산행기
원래 토요일 바래봉에서 비박하기로 계획했는데 함께 할 사람도 없고 해서 하릴없이 신문의 안내산악회를 뒤적거렸다. 무박2일 설악공룡을 가는 산정산악회의 안내 인사말이 눈에 밟혔다. 술을 제공하지 않으며, 산꾼답게 산을 타자는 인사말과 함께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했다. 공룡은 작년에 한번 타 본 경험이 있었는데 물 때문에 고생했고 가파른 설악의 산세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얼마 전 태극도 완성한지라 한 번 더 해보자는 묘한 마음이 생겼다.
토요일 밤 두 대의 차량이 시민회관에서 출발했다. 등반대장의 힘찬 인사말을 듣고 잠시 눈을 붙였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오색이다. 벌써 몇 대의 차량이 왔는지 이차선 도로는 좁았다. 준비를 하고 오르는데 4시30분이 되자 날이 밝아왔다. 후래쉬를 꺼고 등로를 세심하게 살펴본다. 지난번에는 아침에 한계령에서 올랐기에 이 길은 처음이다. 빠른사람은 2시간이면 오른다는 대청봉은 20분이 더 걸렸다.
대청봉에서
오르는 내내 같은 산악회 사람을 하나 못 만난지라 혹시 대열에서 이탈하는건 아닐까 조바심이 났는데 정상에 다가 갈 무렵에 한사람을 만났다. 그분(이승천님)도 같은 산악회 사람을 못 만났는데 날 만났다며 나보고 선두냐고 물었다. 우린 함께 대청봉에 올라 서로 사진을 찍어주고 중청대피소로 내려왔다. 식사장소였던 중청에서 밥 먹기에는 조금 이른
시각이라 희운각에서 먹기로 하고 내처 달렸다.
희운각에 도착해서 밥을 먹고 있으니 이승천님이 왔다. 우린 함께 공룡을 가기로 했다. 희운각에서 공룡가는 길은 따로 표시를 하지 않아 초행인 사람은 그대로 양폭으로 내려갈 수 있는데 같은 국립공원이지만 지리산은, 표지판 하나는 어느 곳 보다 잘 되어 있다는 생각이 문득 났다. 공룡 초입인 신선대 가는길은 가파른 된비알로 이뤄져서 공룡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선대에선 앞으로 갈 공룡길이 보였고 좌로는 용아장성이, 우로는 울산바위가 헌걸차게 펼쳐져있다. 속초 앞바다는 가스가 차서 보이지 않았다.
신선대에서 조망
전에 처음 공룡을 탔을때와 달리 이번엔 바위하나 꽃 하나 이런식으로 조망하며 간다. 역시 알고 가는 길과 모르고 가는 길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내가 몇 시 쯤 마등령에 갈 것이며, 언제쯤 샘을 만난다는 생각은 마음의 여유를 주는 것이다. 그러나 나한봉은 어디 있는지 모르고 지나쳤다. 나한봉 근처에서 산악회 선두를 만났다. 그 사람도 심심 해서 기다렸다고 한다. 함께 마등령을 올랐는데 미시령 가는 길은 출입금지지역이다.
백담사,오세암,마등령 삼거리에 있는 학 머리 모양의 나무.
내려오는 길은 계속 내리막길인데 일요일이라 암벽 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었다. 우측으로는 저 멀리 대청봉이 보였고 우리가 오르내렸던 공룡의, 여기저기 불쑥 튀어 나온 등허리가 한 눈에 조망이 되었다. 이렇게 멀리 오다니.....
뿌듯한 자부심이 탄식처럼 흐르는 것을 스스로도 깜짝 놀란다. -끝.
댓글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