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흘산 산행기 사진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
http://www.mysanjung.co.kr
392회 연결
본문
주흘산 산행기 사진
코 스: 새재1관문-관봉-주봉-영봉-조곡골-2관문-매표소[6시간]
언 제:2006년 3월12일
부산산정산악회 http://www.mysanjung.co.kr
참여회원:46명
주흘산[主屹山]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에 있는 산.높이 1,106m. 백두대간에 솟아 있다. 서쪽으로 조령천을 사이에 두고 조령산(鳥嶺山:1,017m)과 마주보며, 포암산(布巖山:962m)·신선봉(967m)·대미산(1,115m) 등과 함께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서쪽과 남서쪽 사면을 제외하면 대체로 급경사를 이루며, 깎아지른 듯한 거대한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과 서쪽에서 발원하는 물은 신북천과 조령천으로 각각 흘러들며, 높이 10m 정도 되는 여궁폭포·파랑폭포가 있다. 남서쪽 기슭에는 통일신라시대인 846년(문성왕 8)에 보조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했다는 혜국사(惠國寺)가 있다.
과거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를 이루기도 했으며, 조령산과 주흘산 가운데의 계곡 길을 따라 문경관문(사적 147호)이 세워졌는데, 제2관문은 1594년(선조 27)에, 제1·3관문은 1708년(숙종 34)에 세워졌다. 이곳은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 제2·3관문은 현재 복원되어 관광명소와 산책로로 알려져 있으며, 조령제1관문-혜국사-샘터-정상-제2관문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산의 서쪽 산록에 도로가 나 있어서 문경에서 조령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몸을 가누기 어려울 정도의 혹한을 동반한 바람은 이른 봄옷 차림의 회원님들은 3월 추위에 떨어야하는 산행 이였다,

영봉에서 조곡 골로 하산
골짝을 따라난 하산 길엔 지난 가을의 여운이 남아있다, 그래 주흘산에 단풍이 물들면 조곡골 의 지형과 수목으로 보아 운치 있는 산길 중 한곳이리라.......
옛적에 영남의 선비들이 청운의 꿈을 안고 과거를 보기위해 한양으로 가는 과거길이다, 이 길을 따라 북 어로진행하면 조령3관문이 나온다, 지금은 경북과 충북의 분수령이기도하고 마패봉 을 정점어로백두대간을 넘는 길이다, 삼국시대 때는 신라와 백제의 전투가 빈번했던 곳이며, 임진왜란 때는 신무기 소총을 앞세운 왜적에게 참패한 비운의 우리역사가 서려 있는 곳이다,
3월초순의 혹독한 바람은 꽃을 시샘하는 추위라기보다는 산 꾼을 담금질 하는듯했다, 주흘산 산신이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함 이였을 것이다, 그 혹독함 은 또 다른 의욕과 생동감을 잉태하는듯하다, 산신이여 ! 감사 합니다,
주차장 근처에서 간단한 하산 주를 곁들이고, 예상한 시간 17:30 주흘산을 뒤로하고, 20:20 부산에 안전하게 도착했다, 함께한 여러분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오,
부산산정산악회 http://www.mysanjung.co.kr
등반대장 김 홍수 올림.
코 스: 새재1관문-관봉-주봉-영봉-조곡골-2관문-매표소[6시간]
언 제:2006년 3월12일
부산산정산악회 http://www.mysanjung.co.kr
참여회원:46명
주흘산[主屹山]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에 있는 산.높이 1,106m. 백두대간에 솟아 있다. 서쪽으로 조령천을 사이에 두고 조령산(鳥嶺山:1,017m)과 마주보며, 포암산(布巖山:962m)·신선봉(967m)·대미산(1,115m) 등과 함께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서쪽과 남서쪽 사면을 제외하면 대체로 급경사를 이루며, 깎아지른 듯한 거대한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과 서쪽에서 발원하는 물은 신북천과 조령천으로 각각 흘러들며, 높이 10m 정도 되는 여궁폭포·파랑폭포가 있다. 남서쪽 기슭에는 통일신라시대인 846년(문성왕 8)에 보조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했다는 혜국사(惠國寺)가 있다.
과거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를 이루기도 했으며, 조령산과 주흘산 가운데의 계곡 길을 따라 문경관문(사적 147호)이 세워졌는데, 제2관문은 1594년(선조 27)에, 제1·3관문은 1708년(숙종 34)에 세워졌다. 이곳은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 제2·3관문은 현재 복원되어 관광명소와 산책로로 알려져 있으며, 조령제1관문-혜국사-샘터-정상-제2관문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산의 서쪽 산록에 도로가 나 있어서 문경에서 조령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몸을 가누기 어려울 정도의 혹한을 동반한 바람은 이른 봄옷 차림의 회원님들은 3월 추위에 떨어야하는 산행 이였다,
영봉에서 조곡 골로 하산
골짝을 따라난 하산 길엔 지난 가을의 여운이 남아있다, 그래 주흘산에 단풍이 물들면 조곡골 의 지형과 수목으로 보아 운치 있는 산길 중 한곳이리라.......
옛적에 영남의 선비들이 청운의 꿈을 안고 과거를 보기위해 한양으로 가는 과거길이다, 이 길을 따라 북 어로진행하면 조령3관문이 나온다, 지금은 경북과 충북의 분수령이기도하고 마패봉 을 정점어로백두대간을 넘는 길이다, 삼국시대 때는 신라와 백제의 전투가 빈번했던 곳이며, 임진왜란 때는 신무기 소총을 앞세운 왜적에게 참패한 비운의 우리역사가 서려 있는 곳이다,
3월초순의 혹독한 바람은 꽃을 시샘하는 추위라기보다는 산 꾼을 담금질 하는듯했다, 주흘산 산신이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함 이였을 것이다, 그 혹독함 은 또 다른 의욕과 생동감을 잉태하는듯하다, 산신이여 ! 감사 합니다,
주차장 근처에서 간단한 하산 주를 곁들이고, 예상한 시간 17:30 주흘산을 뒤로하고, 20:20 부산에 안전하게 도착했다, 함께한 여러분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오,
부산산정산악회 http://www.mysanjung.co.kr
등반대장 김 홍수 올림.
댓글목록




포포님의 댓글
포포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대장님^^ 산행일정란에서 주흘산의 멋진 모습을 보고는 꼭 가고 잡았는데^^ 참으로 사는 것이 맘처럼 굽側 않네요^^ 전 그날 산행은 못했지만 등산복을 입고는 걸어서 출근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우리 어마니께서 "일 그만두고 시집가면 산에 쉽게 갈수 있다아이가" 하십니다^^ 글치만 오히려 시집가면 더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주흘산의 혹독한 추위에 "주흘산 산신이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함 이였을 것이다, 그 혹독함 은 또 다른 의욕과 생동감을 잉태하는듯하다, 산신이여 ! 감사 합니다,"라고 쓰신 문구가 왠지 우울했던 제 마음에 크게 다가옵니다^^ 추위에 고생 많으셨습니다^^ 몸 조심하시구요^^ 담에 뵈요^^ 대장님^^ 조망간 기장에서 뵐수 있을련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