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주왕산 2006년 7월9일 절골 계곡등반

페이지 정보

본문

행선지:주왕산 절골

언 제:2006년 7월9일 08:00

출발장소 :시민회관 앞 [범일동]

산행코스 A:절골-가메봉-내원동[전기 없는 마을]-2폭포-1폭포-학소대-주왕굴 대전사[5시간]

코 스 B:대전사-1.폭포-2.폭포-3폭포-주왕굴-학소대[자유시간]

준비물:도시락 물

회 비:\20'000

산행문의:633-5670 부산 산정산악회 홈 http://www.mysanjung.co.kr

예약필수 :수협 703-02-107066 김 홍수

산행신청=전화&우리 홈 산행신청하기, 공개신청=우리 홈 산행일정 하단 코멘트

*산정산악회는 산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출발시간을 지체하는 부분은 합심하여 안전한 산행종료 유도하는 단체 이지만, 산행 종료 후 음주 등으로 전체 출발시간을 지체하는 부분은 배려하지 않습니다,

*산정산악회는 합법적인 신차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공식적으로 술과 음식은 일체 제공하지 않는 산행중심의 가이드 문화를 만들어가는 산악회입니다, [산 꾼의 기본 자신이 먹을 것은 본인의 배낭에 스스로 준비 하는 것]

*자발적 참여 속에 다함께 즐기는 산정가이드 산행은 초보의 배려는 산 꾼의 기본이라 생각하며, 초보는 산정산악회 산행에 참여 하는 것이, 고객이나 소비자라고 생각한다면 산정에선 그 욕구 충족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 의식을 가진 그릇된 초보가 있다면 관광사나 상업적인 단체로 참여해야 바람직 할 것입니다,

*주관사가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도심의 상업성과 비교 할 수없는 아름다움이, 우리 산 꾼 들 에겐 내제되어 있고, 산정은 내제된 그 아름다움을 발산 할 수 있는, 장을 만들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 왔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추구 할 것입니다,

<<아래사진 참고자료 >>

DSC02820.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39.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10.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05.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02.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21_1.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35.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41_1.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DSC02848.JPG

주왕산 절골 2003년7월6일 산정산악회 산행사진,

주왕산 720.6m [경북 청송군]
주왕과 장군의 전설이 곳곳에 배어있는 유서깊은 주왕산은 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있는 국립공원이다.

산은 그리 높지 않으나 거대한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선 산세 때문에 예부터 석병산, 대둔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주왕산은 대전사에서 제3폭포에 이르는 4㎞의 주방천 주변이 볼 만하다. 주방천 계류와 폭포, 소, 담, 그리고 죽순처럼 솟아오른 암봉 및 기암괴석, 여기에 울창한 송림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빚어낸다.


청학과 백학이 다정하게 살았다는 학소대, 넘어질 듯 솟아오른 급수대, 주왕이 숨어있다가 숨졌다는 주왕암, 만개한 연꽃 모양 같다는 연화봉, 그리고 제 1, 2, 3폭포 등 명소가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다.


주왕산은 태행산, 관음봉, 촛대봉 등 여러 산봉들 외에도 주왕굴, 무장굴 등의 굴과 월외폭포, 주산폭포, 내원계곡, 월외계곡, 봉산못, 구룡소, 아침 햇살이 바위에 비치면 마치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병풍바위, 등도 명소이다.


주왕산의 11경은 기암, 자하성, 백련암, 주왕굴, 시루봉, 급수대, 학소대, 연화굴, 향로봉, 복암 폭포, 좌암 등이다.


주왕산에는 대전사와 광암사 등 유서깊은 사찰을 비롯해서 주왕암과 백련암 등이 있다. 대전사에는 사명대사의 진영과 당나라 장군 이여송이 사명대사에게 보낸 친필 목판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주왕산 인근에 있는 달기약수는 옛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청송읍내에서 주왕산 쪽으로 가는 길가에 있는 이 약수는 설탕을 뺀 사이다 맛이 느껴지는 탄산수인데, 위장병, 만성부인병, 빈혈 등에 효험이 있다고 해 찾는 사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이 약수로 지은 밥은 파르스름한 빛깔을 띠며, 영계에다 옻나무껍질을 넣고 이 약수로 삶은 옻닭요리는 이 고장의 별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50건 16 페이지
  • RSS
산행일정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825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88 2006-05-25
824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36 2006-05-25
823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36 2006-05-25
822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550 2006-06-20
열람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386 2006-06-20
820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91 2006-06-20
81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02 2006-06-20
818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822 2006-06-20
817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307 2006-07-23
816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379 2006-07-23
815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88 2006-07-23
814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733 2006-07-24
813 산정인 이름으로 검색 1495 2006-07-24
812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548 2006-08-19
811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712 2006-08-19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