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청옥/두타산 2007년6월24일 선녀탕 무릉계곡

페이지 정보

첨부파일

본문

행선지:청옥산~두타산 [동해~삼척]

언 제:2007년 6월24일 06:30

출발장소: 시민회관 앞 [범일동]

산행코스 A: 무릉계곡~두타산~박달령~청옥산~학등~용추폭포~쌍폭[7시간30분]

산행코스 B: 무릉계곡~두타산~박달령~박달폭포~무릉계곡[6시간]

준비물:

회 비:\ 35,000

28인승 신차 우등 이용

산행문의:633-5670

팩 스:051-703-1915

예 약: 수협 703-02-107066 김 홍수

*산행 신청은 전화&홈 산행신청하기, 공개 신청은 산행일정 하단 코멘트

부산 산정산악회 홈 http://www.mysanjung.co.kr

*산정산악회는 산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불가분한 상황으로 출발 시간이
지체되는 부분은 참여회원 모두가 단체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합심하여
산행 종료 유도에 협조해야 한다, 하지만 산행 종료 후 음주 등으로
전체 출발시간을 지체하는 부분은 배려하지 않는다.

*산정산악회는 합법적인 신차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공식적으로 술과 음식은
일체 제공 하지 않는 산행중심의 가이드 문화를 만들어가는 산악회 입니다,
[산 꾼의 기본 자신이 먹을 것은 본인의 배낭에 스스로 준비하는 것].

*자발적 참여 속에 다함께 즐기는 산정 가이드 산행은 초보의 배려는 산 꾼의
기본이라 생각하며, 산행에 참여 하는 것이 고객이나 소비자라고 생각하는 그릇된
초보가 있다면, 관광사나 상업적인 단체를 이용해야 바람직 할 것이다,

주관사가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도심의 상업성과 비교 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우리 산정인들 에게 내제되어 있음은 긍지와 자랑입니다.

*문명의 발달로 야기된 자기중심 적인 이기심 과 아집 부와 명예........
이런 도심의 제도와 틀에서 벗어나 본연의 나를 찾아가는 산이기에
산에 적응과 동화될 순수한 빈 마음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높 이
청옥산 1,403m

위 치
강원 동해시, 삼척시

특징/볼거리
동해시의 남서쪽, 삼척과의 경계를 이루는 곳에는 두타산, 청옥산, 고적대로 이어지는 산줄기와 북동쪽으로 쉰움산이 있다.

청옥산은 두타산 서쪽 3km 떨어진 능선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두타산 보다 51m 높은 1,403.7m로 이 산들 중 가장 높은 산이다.


두타산과 청옥산은 해발 1,300여m로 동해안에 가까이 솟아 있는 관계로 등반 고 도차가 무려 1200m나 되기 때문에 쉽게 오를 수 있는 산은 아니다.


청옥산과 두타산 산아래 펼쳐진 국민관광지 1호 무릉계곡은 1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무릉반석과 학소대, 선녀탕 그리고 계곡 양편에 깎아지른 듯한 병풍바위 등 웅장한 절경을 안고 있다.


산행기점인 무릉반석의 바로 아래 상가마을까지 동해시에서 수시로 운행하는 삼화사행 시내버스가 있다. 그러나 산행시간만 9시간 정도 소요되는 높고 험한 산이므로 1박 2일 코스로 하는 것이 좋다.


청옥산 사진 계곡안내: 무릉계곡1 무릉계곡사진

산행안내
산행은 무릉계곡 입구의 삼화사쪽에서 시작한다. 삼화사 위쪽 두갈래 길중 우측 용추폭포 가는 길로 향한다.고개를 들면 베틀바위가 다소곳하고 겹겹이 가린 골짜기에서는 관음폭포가 우람한 소리를 내며 발길을 끈다. 알바위골, 관음사입구를 지나는 동안 계곡은 그윽하기 비할 데 없다.


청학이 깃들였으리 만큼 서기가 감도는 학소대는 하늘 높이 치솟아 있고 그 아래로 신선의 옷자락처럼 휘늘어지며 떨어지는 비단폭포는 마음을 깨끗이 씻어준다. 계곡을 가로질러 철사다리를 건너면 옥류동. 집채만한 바위가 수없이 널려있고 그 사이로 옥같은 물이 흘러내린다.

갈림길에서 오른쪽 계곡을 건너면 문간재고 왼쪽길로 가면 박달골이다. 온통 땅을 울리며 쏟아지는 쌍폭을 지나면 용추폭포. 무릉반과 함께 무릉계를 대표하는 명물이다.


본격적인 산행은 쌍폭에서 시작된다. 쌍폭 위를 돌면 협곡 사이로 뚫린 박달골이 보인다. 벼락바위와 번개바위가 맞물려 입구가 한껏 좁아진 박달골은 초입부터 이끼 투성이의 바위와 원시림이 뒤엉켜 야성미가 넘친다.


원시림을 이룬 숲 사이로 뚫린 길은 유현스럽기까지 하고 숨돌릴 겨를도 없이 가파른 오르막이 끝나면 박달령이다. 오른쪽 길을 따라 문바위 아래쪽을 돌아가면 부드러운 능선길.북쪽으로 꺾인 길을 따라 약 200m쯤 가면 큼직한 무덤이 있고 소잔등 처럼 넓고 탄탄한 청옥산 주릉과 만난다.


정상에 이르면 서북쪽으로 고적대와 동쪽에 두타산이 보인다.서북쪽으로 난 능선길을 따라 너덜길을 통과해 약 1시간 정도 가면 연칠성령.

고적대의 암릉을 왼쪽으로 보며 약 1시간 정도 내려오면 칠성폭포가 땀을 식혀준다. 사원터를 지나 문간재를 거치면 무릉계곡으로 다시 내려와 산행이 끝난다.

{FILE:1}
무릉계곡 쌍폭[사진: 한국의산하]

{FILE:2}
두타산 [사진:자유인 산악회]

{FILE:3}
청옥산 [사진;자유인 산악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50건 23 페이지
  • RSS
산행일정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720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92 2011-06-15
71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92 2011-08-06
718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89 2003-07-01
717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8 2023-12-07
716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85 2010-10-08
715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84 2006-03-28
714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80 2013-07-03
713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8 2014-09-26
712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8 2006-10-09
711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8 2022-04-19
710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5 2005-02-05
70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3 2014-11-26
708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3 2007-07-28
707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3 2010-03-02
706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3 2005-09-2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