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속리산 2005년 10월9일 문장대 법주사 단풍산행

페이지 정보

본문

행선지:속리산 1058m [충북 보은군]

언 제:2005년10월9일 08:00

출발장소:시민회관 [범일동]

코 스:A 팀,시어동-문장대-천황봉-법주사 [5시간30분 소요]

B팀,시어동-문장대-법주사 [4시간소요]

C팀,법주사-정이품-관광 ,[자유시간]

산행지도:상단 파일 클릭

준 비 물:도시락 물

회 비:\20'000

예약필수:수협 703-02-107066 김 홍수

산행예약=전화 & 우리홈 산행신청하기 [참조]

산행문의:051-633-5670 부산 산정산악회 홈 http://www.mysanjung.co.kr

*산정산악회는 산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출발시간을 지체하는 부분은 협심 하여 안전한 산행 종료 유도 하는 단체이나, 산행 종료 후 음주 영향으로 전체 출발 시간을 지체 하는 부분은 배려하지 않습니다,

*가이드 산정은 합법적 이고 신차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공식 적으로 술과 음식은 일체 제공 하지 않습니다, 함께 즐기는 산행 중심의 가이드 문화를 만들어 가는 산악회 입니다.

자발적 참여 속에 다함께 즐기는 산정 가이드 산행은, 초보의 배려는 산 꾼의 기본 이라 생각 하며,초보는 산정 산행 가이드에 참여 하는 것이 고객이나 소비자라는 생각 한다면 산정 에선 그 욕구 충족 할 수 없을 것 입니다.그런 의식을 가지신 분이 있다면 관광사나 영업적인 단체로 참여해야 바람직 할 것입니다.

주관사가 고객 에게 써비스 하는 그 이상의 아름다움이 우리 산 꾼들 에겐 내제 되어 있고. 산정은 내제된 그 아름다움을 발산 할 수 있는 장을 만들기 위해 한결 같이 노력 해왔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추구 할 것입니다.

"산행대장 김 홍수 올림"

{아래사진=2003년10월19일 산정 속리산 산행 참고 자료}

DSC03414.JPG

속리산 문장대 가는 길

Pa190032.jpg

속리산 문장대 부근

Pa190020.jpg

속리산 문장대

DSC03421.JPG

속리산 입석대

DSC03423.JPG

속리산 경업대 에서 바라본 입석대

DSC03426.JPG

속리산 입석대 2003년 10월19일 김 홍수 촬영

DSC03434.JPG

속리산 상고암 가는 길 2003년 10월19일 김 홍수 촬영

DSC03435.JPG

속리산 비로산장 , 2003년 10월19일 김 홍수 촬영.

충북 보은군과 경북 상주군 화북면에 걸쳐 있는 속리산은 우리나라 대찰 가운데 하나인 법주사를 품고 있다.

정상인 천황봉(1,058m), 비로봉(1,032m), 문장대(1,033m), 관음봉(982m), 입석대 등 아홉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능선이 장쾌하다. 봉우리가 아홉 개 있는 산이라고 해서 신라시대 이전에는 구봉산이라고도 불렀다.

속리산은 산세가 수려하여 한국 8경 중의 하나로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봄에는 산벚꽃, 여름에는 푸른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가을엔 만산홍엽의 단풍이 기암괴석과 어우러지고, 겨울의 설경은 마치 묵향기 그윽한 한폭의 동양화를 방불케 하는 등 4계절 경관이 모두 수려하다.

속리산은 법주사(사적 명승지4호), 문장대, 정2품 소나무(천연기념물 103호)로 대표된다. 법주사에는 팔상전, 쌍사자석등, 석연지의 국보와 사천왕석등, 대웅전, 원통보전, 마애여래의상, 신법천문도병풍의 보물등 문화재가 많다.

문장대는 해발 1,033m높이로 속리산의 한 봉우리이며, 문장대에 오르면 속리산의 절경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문장대는 바위가 하늘 높이 치솟아 흰구름과 맞닿은 듯한 절경을 이루고 있어 일명 운장대라고도 한다. 문장대 안내판에는 문장대를 세번 오르면 극락에 갈 수 있다는 속설을 전하고 있다.

정2품 소나무는 법주사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는 수령 600여년의 소나무로, 조선 세조 때, 임금님으로부터 정이품이란 벼슬을 하사 받았다고 한다. 이 소나무는 마치 우산을 펼친 듯한 우아한 자태가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다.

세조대왕(1464년)이 법주사로 행차할 때 대왕이 탄 연이 이 소나무에 걸릴까 염려해 '연 걸린다'라고 소리치자 소나무가지가 번쩍 들려 무사히 통과했다는 사연으로 '연걸이 나무'라고도 한다. 이러한 연유로 대왕은 이 나무에 정2품의 벼슬을 내렸다고 한다.

속리산은 산행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은 산이다. 가벼운 옷차림으로 찾아와 가벼운 마음으로 떠날 수 있는 곳 이어서인지 관광객들이 수시로 찾아든다.

법주사는 초,중고생들의 수학여행지로도 인기있다. 속리산 단풍은 설악이나 내장산과 같이 화려하지 않고 은은하다.가을이면 수학여행온 학생들로 붐빈다.

1,033m높이의 문장대에 오르면 속리산의 절경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신선대 휴게소에서 주변 풍광으로 청법대 바위의 웅잠함에 감탄하게 된다.

----------------------------------------------------------------

신라 헌강왕 때 고운 최치원이 속리산에 와서 남긴 시가 유명하다.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사람은 도를 멀리 하고/산은 속세를 떠나지 않으나/속세는 산을 떠나는구나"(도불달인 인달도 산비리속 속리산)

우암 송시열은 속리산 은폭동에서 다음과 같은 시를 남기기도 했다.

"양양하게 흐르는 것이 물인데/어찌하여 돌 속에서 울기만 하나/ 세상사람들이 때묻은 발 씻을까 두려워/자취 감추고 소리만 내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50건 24 페이지
  • RSS
산행일정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705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1 2005-04-01
704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70 2004-05-19
703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9 2009-04-21
702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6 2004-09-07
701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4 2007-06-18
700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3 2014-09-26
69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2 2014-11-06
698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2 2013-04-27
697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61 2008-07-14
696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58 2005-11-09
695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7 2022-12-16
694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54 2007-02-24
693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54 2007-03-13
692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54 2014-07-24
691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653 2015-11-24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