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조령산 2009년 6월14일 문경새제 백두대간 릉

페이지 정보

본문

{FILE:1}

행선지:조령산 1025m

언 제:2009년 6월14일 07:30

출발장소: 시민회관 앞 [범일동]

산행코스 A:이화령~조령산~신선봉~깃대봉~치마바위골~말용초폭포~샛터[5시간30분]

산행코스 B:새터~말용초폭포[자유시간]

준비물: 도시락 물 간식 장갑 모자

회 비:\25,000

산행문의:633-5670

팩 스:051-703-1915

예 약: 수협 703-02-107066 김 홍수

*산행 신청은 전화&홈 산행신청하기, 공개 신청은 산행일정 하단 코멘트

부산 산정 산악회 홈 http://www.mysanjung.co.kr

TIP.1
산정산악회는 특정한 직업 지역이 주축이 되는 산악회가 아닙니다,
산정산악회 는 정회원 일일 회원을 구분하지 않으며, 산과 자연을 사랑하는
각계각층 의 초보 등산 동호인을 배려하는 산악회 입니다,

TIP.2
산정산악회는 산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불가분한 상황으로 출발 시간이
지체되는 부분은 참여회원 모두가 단체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합심하여
산행 종료 유도에 협조해야 한다, 하지만 산행 종료 후 음주 등으로
전체 출발시간을 지체하는 부분은 배려하지 않는다.

TIP.3
산정산악회는 합법적인 신차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공식적으로 술과 음식은
일체 제공 하지 않는 산행중심의 가이드 문화를 만들어가는 산악회 입니다,
[산 꾼의 기본 자신이 먹을 것은 본인의 배낭에 스스로 준비하는 것].

TIP.4
자발적 참여 속에 다함께 즐기는 산정 가이드 산행은 초보의 배려는 산 꾼의
기본이라 생각하며, 산행에 참여 하는 것이 고객이나 소비자라고 생각하는 그릇된
초보가 있다면, 관광사나 상업적인 단체를 이용해야 바람직 할 것이다,

주관사가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도심의 상업성과 비교 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우리 산정인들 에게 내제되어 있음은 긍지와 자랑입니다.

TIP.5
문명의 발달로 야기된 자기중심 적인 이기심 과 아집 부와 명예........
이런 도심의 제도와 틀에서 벗어나 본연의 나를 찾아가는 산이기에
산에 적응과 동화될 순수한 빈 마음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
조령산 [鳥嶺山] 1,025m
위 치 :충북 괴산군 연풍면, 경북 문경시 문경읍

특징·볼거리
조령산은 충북과 경북에 걸쳐 있는 이화령과 조령3관문 사이에 위치하며, 산림이 울창하며 대 암벽지대가 많고 기암괴봉이 노송과 어울려 한 폭의 그림 같다.

이화령(큰세재)에는 휴게소와 대형 주차장이 있고, 북쪽 구새재는 조령 제 3관문 (조령관)이 있으며 관문 서편에는 조령산 자연 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 대소 암봉과 암벽 지대가 많다.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 폭포와 용송골, 절골, 심기골등 아름다운 계곡이 있다. 등산 시기는 가을, 여름, 봄 순으로 좋은 산이다. 문경새재를 허리춤에 안고 있는 조령산은 산보다 재가 더 유명하다.

조령산은 아기자기한 코스와 설경이 겨울산행의 묘미를 듬뿍 안겨주는 산이다. 산세가 웅장하고 비교적 높지만 해발 530m의 이화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므로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

기산(621.5m)
이화령 쪽으로 가는 3번 국도인 각서리에서 오른쪽에 잇는 산으로 1/ 25,000 지도에는 삼각점이 있고 높이도 597.2m로 표시되어 있다. 옛날에는 바로 산 정상 가까이에도 사람이 살 정도로 평탄한 곳이며 지금은 헬기장이 있다. 기(箕)은 양곡을 까부는 키를 뜻하며 각서에서 오르는 길이 있다. 문경새재 주차장에서 기산을 지나 조령산으로 오를 수 있다.

깃대봉(821.5m)
백두대간을 따라 이화령에서 조령관(제3관문) 쪽으로 조령산을 종주하면 마지막에 오르는 봉우리로서 지도상에 이름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옛날 깃대를 꽂았다고 전한다. 삼각점이 있으며 바로 옆에 844m 고지와 붙어 있는데 보통 84m 고지는 거치지 않고 조령관(제3관문)으로 내려선다. 여기는 1/ 25,000 지도에는 824.9m로 표시되어 있고 조령관(제3관문)에서 오르면 30분정도가 소요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50건 25 페이지
  • RSS
산행일정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90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0 2011-08-06
68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0 2013-11-02
688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1 2023-04-26
687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3 2002-05-22
686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3 2021-11-29
685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5 2012-02-04
684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6 2023-09-12
683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6 2016-11-19
682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9 2017-02-07
681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39 2005-12-28
680 mysanjung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41 2002-10-31
679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42 2017-01-21
678 no_profile 산정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4 2023-11-22
677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44 2017-02-08
676 산정인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47 2011-07-05

검색